임베디드 프로젝트/디바이스 구현7 Embedded PLC 2.0v 장치 Bring Up 안녕하세요. LowLevel 연구소의 MachineJW 입니다.개인적인 비용을 투자하여 진행했던 프로젝트 Embedded PLC 보드 2.0v을 제작해보았습니다.기존 회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양면 SMT에서 단면 SMT로 설계를 변경해보았습니다. (제조 단가를 절감하기 위해)1. 2.0v 변경사항문제가 있었던 GP8403 칩의 전원 부에 1W 출력 12V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사용했습니다.기존에 24V 전원을 입력해서 아날로그 출력 TVS 12V 다이오드가 탔던 문제가 있었습니다, 알고보니 아날로그 출력부에 24V가 그대로 출력되고 있었던 게 원인이였습니다. (데이터시트에는 분명 36 V까지 지원했었던....ㅠ)PCF8574의 초기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없어 MCP23017로 변경했습니다. (전원 부팅.. 2025. 4. 19. Embedded PLC 장치 브링업 (Bring Up) 1. JLCPCB 주문 보드 도착보드 납땜 상태는 매우 괜찮았다. 설계한 대로 SMT 공정이 잘 적용된 것 같다.14일 만에 보드가 도착했는데 배송은 UPS에서 담당했다. 환율이 올라서 세금도 더 올라간듯 하다. (약 8만원의 세금이 부과됨)급하게 뜯느라 사진은 찍지 못하였는데 포장 상태도 매우 잘 된 편이다.2. 케이스 조립혹시 나 규격이 맞지 않을지 걱정했지만, 조립 나사 홀 규격에 맞게 잘 적용이 되었다. (자로 열심히 노가다 한 보람이 있다. ㅎㅎ)OLED 0.96인치 디스플레이도 장착에 문제가 없었다.상부 케이스와 결합 또한 문제가 없었다.사진은 최종적으로 조립한 모습이다.보드 SMT는 샘플로 2장만 적용하였고 나머지 3장은 PCB만 제작하였다. (오른쪽 사진은 PCB의 모습과 같이 촬영)3. .. 2025. 3. 14. 임베디드 (ESP32) 보드 개발 이슈 사항 1. 데이터 수집 및 제어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보드(1) 주요기능DC 24V / 2A (24W) 전원1602 I2C 디스플레이디지털 입력 : 24V 신호를 입력디지털 출력 : 24V 신호를 출력아날로그 입력 (4-20mA) : 4~20mA 신호를 입력아날로그 입력 (0-10V) : 0-10V 신호를 입력센서 입력 : CT(AC전류 센서) 입력, PT100(온도 센서) 입력GPIO 핀 (I2C SDA, SCL / ADC/ DI/ DO)부저 출력Ethernet (W5500 SPI 기반)MicroSD 카드 (SPI 기반)RS485/232 통신USB C Type ( 펌웨어 업로드 , 시리얼 디버깅용 )(2) 개발환경회로도 및 PCB 아트웍 : EasyEDA펌웨어 작업.. 2025. 1. 27. PNP BJT 스위칭 출력 이슈 1. 보드 설계 이슈 ( 디지털 출력 미동작)최근 보드 설계를 진행하였는데, 디지털 출력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현상이 발견됬다.스위칭 출력 용도를 위해 PNP BJT를 사용하였는데, 생각지도 못한 실수를 저지르고 말았다.2. NPN과 PNP 구조 다시 확인하기....ㅠNPN은 베이스(B) 전압이 이미터(E) 전압보다 0.7V (문턱전압) 커야 한다. (VB - VE > 0.7V)PNP는 이미터(E) 전압이 베이스(B) 전압보다 0.7V (문턱전압) 커야한다. (VE - VB > 0.7V) 회로도를 보면 SS8550 (PNP) 트랜지스터의 이미터(E) 전압과 베이스(B) 전압이 같은것을 확인 할 수 있겠다 즉, PNP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기 위한 VE - VB > 0.7V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것이다. (.. 2024. 9. 5. 전류 CT 센서 인터페이스 모듈 - RMS 취득 펌웨어 1. 개발 이슈 ( issue )(1) 오프셋(Offset) 전압오차율 0.1%의 0603 저항기와 탄탈 커패시터를 활용하여 오프셋 전압 (1.65V) 오차를 최소화 하려 노력해 보았지만, 실제 테스트 펌웨어 작업 후 약 20mV 정도의 오차를 보였다. 즉, 이상적으로는 오프셋 전압이1650mV가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ADS1115 ADC를 통하여 측정해본 결과는 1640~1665mV로 미세하게 오프셋 전압이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이 있었다.원인은 실제로 인입되는 노이즈이거나 3.3V LDO에서 출력되는 전류에 따라 전압이 미세하게 바뀌는 특성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된다.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프셋 전압을 오차율이 최대한 적은 1.65V LDO를 활용해보는 것인데, 찾아본 결과 이 마저도 0.5%의 오차율.. 2024. 8. 21. 전류 CT 센서 인터페이스 모듈 - 브링업(Bring Up) 1. 보드 도착 (실물 사진)보드가 도착하였다. 포장은 나름 잘 되어 있는 듯 하였다.2. 테스트구현 (기준 전압 측정)CT 센서와 연결하여 기준(Reference) 전압을 출력해보았다. 1663.38mV (1.66V) ~ 1646.00mV (1.64V) 가 측정되었는데 기준 전압 오차가 0.01V 정도 되는 것 같다. 전압분배기의 저항기의 오차율을 고려해 볼 때 그럭저럭 나올만한 결과 인것 같다.아무것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 일 때의 측정 mV를 시리얼플로터로 출력해보았다. 순간적으로 관찰해보았을때 0.20mV 정도의 노이즈를 보인다. 노이즈일 수도 있지만 기준전압 자체가 불안정한 현상일 수 도 있을 것이다.3. 테스트구현 (실제 부하 작동)선풍기(부하)를 연결 후 단상 선에 센서를 체결하였다. 강풍(약.. 2024. 8. 1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