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 하드웨어/통신 인터페이스10 [RF통신]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1. RF란 ? 라디오는 무선 통신을 의미하며, RF는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의미한다. 기술적으로 RF(무선 주파수)는 주어진 주파수의 신호를 안테나로 흘려보냈을 때 무선 방송이나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장이 생성되는 특성을 갖는 교류를 가르킨다. 이러한 주파수에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 kHz 대역부터 수천 GHz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이 포함된다. 오늘은 RF을 이용한 무선통신 기술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2. RFID란? RF의 대표적인 응용 중 하나로, 데이터가 기록된 IC칩과 RF를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인식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을 말한다. RFID는 전자태그, 스마트 태그, 전자 라벨 등으.. 2022. 12. 22. [통신] RS485, RS232 비동기식 시리얼 통신(UART통신) 방식 중 가장 중요한 물리적인 규격인 RS485,RS232 에 대하여 공부하겠다. 본문에 앞써, 시리얼 통신에 대한 글을 보지 않았다면,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하겠다. https://machinejw.tistory.com/15 시리얼 통신 (Serial Communication) 시리얼 통신이란? 시리얼 통신은 직렬 연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직렬 연결은 한번 에 하나의 비트단위로 1(High)과 0(Low)의 신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시리얼 machinejw.tistory.com RS(Recommanded Standard)통신은 디바이스와 디바이스간의 통신을 위해 EIA협회에서 규정하여 만들어졌다. 예를 들면 옛날의 PC와 프린터기가 .. 2022. 12. 13. [프로토콜]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MQTT란?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하는 IoT의, IoT에 의한, IoT를 위한 메세지 프로토콜이다. MQTT 프로토콜은 정말 단순하게 사물인터넷 간에 "메세지"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MQTT로 통신되는 메세지를 통해서 디바이스를 제어를 하든, 데이터를 만들고 수집하든 처리는 알아서 하는거다...ㅎㅎ (IoT 개발자의 몫) MQTT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 다른 통신프로토콜에 비해서 리소스가 비교적 적어, 소형 디바이스 통신에도 최적화 되어있다. Broker(브로커) 통신을 하기위해서는 보통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존재한다. MQTT에서도 메세지를 잘 전달해 줄 수 있는 서버와 같이 중계를 해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MQTT에서는 이를 Broker(브로커) 라고 한다. MQT.. 2022. 12. 5. [통신기초] 시리얼 통신 (Serial Communication) 시리얼 통신이란? 시리얼 통신은 직렬 연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직렬 연결은 한번 에 하나의 비트단위로 1(High)과 0(Low)의 신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시리얼 통신도 동기식과 비동기식의 2가지 방법으로 분류가 된다. 시리얼 통신 분류 동기식 통신 데이터 신호와는 별도로 동기신호를 함께 보낸다. (쉽게 언제 데이터를 주고받을 지 정해져 있다는 것) 비동기식 통신 데이터 신호만을 보내고 각각의 방식에 따라 데이터 비트를 찾아낸다. (데이터를 언제주고 받을 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방식을 맞춰야 한다.) 비동기식 통신의 경우 언제 데이터를 주고 받을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꼭 맞춰야 하는 몇가지 규약이 있다. 시리얼통신 동기 규약 통신속도 ( Baud rate.. 2022. 12. 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