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124 [L3~L7] VPN(Virtual Private Network) 1. VPN 개념 VPN은 Virtual Private Network 의 약자로 번역하여 가상 사설망이라고 한다. 통상적으로 네트워크는 WAN과 LAN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국내에서는 쉽게 WAN은 ISP(KT, LG, SKT)의 영역, LAN은 WAN 영역에서의 하나의 IP를 공유기 또는 NAT 장비를 통해 구축된 사설망을 의미한다. (엄연히 통상적인 기준이다.) VPN을 이해하기 앞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이해하면 도움이 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터넷이라는 망 (WAN)은 완전연결형 유형의 토폴로지로 구현이 되어 있다. 중간중간 라우터 장비를 이루어지며 전 세계의 사설망 (LAN)을 이어준다. 즉 모든 LAN을 라우터, 중계장비로 연결한 형태가 WAN 네트워크이다. 우리는 이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2023. 5. 27. [L4]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와 포트포워딩 1. 네트워크 주소 변환 (Network Address Translation) 가정이나 회사에 인터넷을 구축한다고 가정한다. 우리는 인터넷 사업자(KT, LG, SKT)로 부터 돈을 내고 공인 IP를 부여 받게 된다. 공인 IP 주소로는 컴퓨터, 휴대폰, 기타 디바이스 등등의 IP를 할당하기에는 부족하다. 이때 우리는 공유기 라는 것을 사용하여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여러개의 장치에 IP를 부여할 수 있도록 사설 IP로 바꾼다. 사설 IP를 사용함으로써의 장점은 IPv4의 주소 고갈 문제와 외부IP와 내부IP가 다름으로써 보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석이조) 공유기의 존재 이유는 바로 네트워크 주소 변환 기술이다. 흔히 공인 IP를 사설 IP로 바꾼다. 또는 내부 네트워크 망을 구축한다 등등 이런 .. 2023. 5. 26. 스위칭 레귤레이터 (Switching Regulator) 1. 전원(Power)를 위한 레귤레이터 모든 시스템이 일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종류라도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전자 시스템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력(Power)이 필요하며, 이 전력을 공급해 주는 장치를 전원(Power)라고 한다. CPU(또는 MCU) 및 대부분의 IC들도 정확한 전압의 직류(DC) 전원을 필요로 하며, 보통은 3.3V 또는 5V의 정전압을 사용한다. CPU와 IC는 능동소자(반도체)에 속하여, 동작을 하기위해서는 전원의 입력을 꼭 필요로 한다. 레귤레이터의 종류는 2가지가 있다. - 입력되는 전압에 대하여 전력을 소비하여 전압 강하로 정전압을 출력하는 리니어 레귤레이터 - 입력 전압을 ON/OFF 하는 스위칭 동작으로 강압/ 승압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https://mach.. 2023. 4. 23. Wire 라이브러리 1. I2C 통신 구현 라이브러리아두이노에서는 I2C 통신을 쉽게 할 수 있도록 Wire 라는 객체를 제공한다.I2C 통신을 모른다면.... 아래 게시물 참조https://machinejw.tistory.com/44 I2C 통신I2C 통신은 I Two C 또는 I Square C 라고 하며, Inter IC Bus의 약자이다. 이전에 공부했듯이 시리얼 통신 중에서도 동기식(데이터를 언제 주고받을지 규약됨) 통신 이며, I2C 통신의 경우 SCL(Serial Clock Line)machinejw.tistory.com2. Wire 객체 함수 사용법#include // Wire 객체는 Wire.h 파일에 선언되어 있다.Wire 는 아두이노 기본 제공 라이브러리이다.(1) beginWire.begin();W.. 2023. 4. 19. [C] 커패시터 1. 커패시턴스 공식 정리 커패시터는 커패시턴스 특성을 가진 수동소자. C = F (커패시턴스 = 단위 : 패럿) Q = C * V (전하량 = 커패시턴스 * 전압) I = C(dV/dt) (전류 = 커패시턴스*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량) E= C*V^2 / 2 (에너지 = 커패시턴스*전압제곱 / 2 ) 2. 고주파 모델의 커패시터 고려사항 주파수 특성이 중요한 소자인 커패시터에서는 기생 성분 고려가 중요 이런 기생 성분들은 저주파회로에서는 많이 고려하지 않지만 고주파회로에서는 큰 영향을 미침 - ESR (등가 직렬 저항,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기생 저항 성분으로 인하여 전력손실이 발생할수도 있다. 또한 RC지연 현상이 발생하며, 임피던스가 변화 할 수 있어 신호에 큰 영향.. 2023. 4. 18. [C] 커패시턴스(Capacitance) 정리 1 . 커패시턴스(Capacitance : 정전용량) - 콘덴서, 커패시터라고 불리는 소자는 커패시턴스(Capacitance) 특성을 가진 수동소자 - 커패시턴스는 정전용량이라 불리며, 대전을 통해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 - 표기기호는 C를 사용하고, 단위는 F(패럿)을 사용 - 1F = 1V의 전압을 가하였을때 1Q(쿨롱)의 전하량을 축적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1) 전하량 Q(전하량) = C(커패시턴스) * V(전압) 커패시터 양단에 전압 V를 인가하면 커패시턴스 C와의 곱만큼의 전하량이 저장. 이를 충전이라 함 충전된 커패시터 양단에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를 연결하면 저장된 전하량은 부하를 통해 소비. 이를 방전 이라함 (2) 전류 I = C ( dv(t) / dt ) 커패시턴스 양단 전압의 .. 2023. 4. 17.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