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127

[L1] 모뎀 (Modem) 모뎀은 OSI 1계층의 장비이지만, 실제로 보면 인터넷 사업자 (KT, LG, SK)에서 구축해주는 모뎀은 OSI 2계층의 스위치 허브 기능도 포함 되어있다. 가장 핵심적인 역할은 PCM 변조 모뎀의 종류는 많지만, 가장 큰 역할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 또는 동축케이블의 전기적인 신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Digital Analog Converter: DAC) 하고 반대로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Analog Digital Converte: ADC) 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 역할을 PCM(Pulse Code Modulation) 변조 라고 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모뎀은 외부 네트워크 케이블(광,동축)의 전기적인 신호를 PCM변조 과정을 통해 외부 인터넷과 통신하기 위한 장비이다... 2022. 11. 26.
릴레이/계전기(Relay) 릴레이는 설비에서 많이 쓰이는 부품이다. 설비와 설비간의 연동 시에도 유용하게 쓰인다. 설비에서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용도인데, 자세히 보면 릴레이도 일종의 스위치이다. 릴레이는 " 주는 전기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스위치 " 라고 생각하면 기억에 오래 남는다. 즉, 보통의 스위치는 수동으로 조작 하지만 릴레이의 스위치는 전기 신호로 조작한다. 릴레이의 종류야 다양하겠지만 항상 스위치 조작이라는 목적이 동일하다는 점을 기억해야한다. 수동조작 수동복귀 집안에서 볼 수 있는 형광등 제어 스위치 수동조작 자동복귀 푸쉬버튼 자동조작 수동복귀 누전차단기 자동조작 자동복귀 릴레이 IoT에 있어서 설비를 제어하기 위해서 연동하기 위해 릴레이 방식이나 RS485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다른 방법도 있을수도 있겠지.. 2022. 11. 24.
[L1] 케이블 (전송매체) 이더넷 네트워크 표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술은 이더넷 방식이다.... 방식이라고 하기도 좀 그럴게 모든 인터넷은 이더넷으로 연결된다. 물리적인 연결에서 이더넷 표준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본적은 없다. 케이블의 종류 1.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Twisted pair : TP) 한국말로는 꼬임쌍썬이라고 불린다. 그렇다.. 우리가 알고 있는 LAN선이다. TP 케이블에도 종류가 있는데 UTP (언쉴드 : 보호되어있지 않은) , STP (쉴드: 보호가 되어있는), FTP(호일: 호일로 보호되어있는) 케이블로 나뉜다. 당연하게도 보호가 잘 되어 있을 수록 외부간섭에 강하고 가격도 비싸다. 사무실이나 집에서는 UTP를 사용하지만 외부 간섭이 심한 산업현장에서는 STP를 사용하는 곳도 있다고 한다.. 2022. 11. 22.
[L2] L2 스위치 / 스위치 허브 OSI 2계층에서 작동하는 허브는 "스위치 허브"라고 한다. L2 스위치, 스위칭 허브, 허브 스위치 등.... 장비를 부르는 말은 다양하다. 장비를 부르는 용어가 어떻게 됬건, 장비의 목적은 동일하다는 것을 잊지말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허브라고 불리우는 것들도 2계층에서 동작하는 스위치 허브에 속한다. 1계층에서 동작하는 허브는 더미 허브로 지금은 거의 찾아볼수가 없다... (자세한건 더미허브 포스팅 참조: https://machinejw.tistory.com/3) MAC 주소 기반의 동작 2계층의 장비는 OSI 2계층의 특징인 물리적인 주소 MAC주소를 학습하고 MAC테이블을 만들어, 해당 MAC주소로 온 패킷들을 포워딩하여 준다. (말 그대로 스위칭 해준다....) 러닝(Learning) 출발지 .. 2022. 11. 21.
OSI 7계층, TCP/IP 4계층 1. 개요 '네트워크'를 배운다면 OSI 7 계층의 흐름을 알고 있어야 한다. 외워야 한다가 아니라 절대적으로 이해해야한다. OSI 7 계층의 흐름을 이해하고 나면 앞으로 네트워크라는 것을 배울 때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본 게시물은 형식적인 개념보다 나의 경험을 토대로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풀어나가보려고 한다. 2. 왜 OSI 7 계층이 필요한가? OSI 7 계층은 ISO(국제표준화기구)가 통신에 대한 구조를 정의하고 규약한 모델이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귀찮게, 통신에 대한 규약을 만들어 놓았느냐라는 것이다. 만약 상대방과 대화를 주고 받는다고 가정을 한번 해보자, 대화가 어떻게 되든지 나는 상대방과 의사표현을 할 수 있으면 된다. 글로 써서 내 의사를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고, 말을 통해 내 의.. 2022. 11. 16.
[L1] 더미 허브(Dummy Hub) OSI 1계층에서 작동하는 허브는 모두 더미 허브(Dummy Hub) 이다. - 한 쪽에서 온 신호를 모든 포트로 똑같은 신호를 보낸다. - 해당 포트의 신호가 아니더라도 무조건 보낸다....( 주소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 - 접속된 모든 포트로 신호(패킷)를 전달하는 것을 네트워크 장비에서 플러딩(Flooding) 기능 이라고 한다. - 더미 허브는 플러딩(Flooding) 기능밖에 없다. - 필요없는 신호가 증가 함에 따라서, 네트워크의 장애 요소가 된다. - 감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리피터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 책에서는 포트트렁크(Port Trunk)나 리피터가 필요할때 대용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 나는 솔직히 이런 쓸모 없는 물건을 한번도 본 적이 없다.... 보고 싶어서 쇼핑몰에 더미 .. 2022.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