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124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마이크로컨트롤러(MCU)란? 일종의 컴퓨터이다. CPU, RAM, 플래시메모리 등을 칩하나에 통합시켜서 만들어진다. (칩하나에 집적된 컴퓨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범용 입출력(GPIO)핀을 여러개 가지고 있어서, 각종 센서, 스위치, LED, 디스플레이등을 간편하게 제어 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라고 불린다.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구성요소 마이크로컨트롤러마다 메모리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SRAM, EEPROM, 플래시메모리가 사용된다.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 PC의 경우 폰노이만 구조를 사용하지만, 마이크로컨트롤러는 하버드구조를 사용한다. 메모리 설명 SRAM 휘발성의 메모리, 프로그램 실행시에 사용이 되는 메모리이다. 프로그램의 변수 값이 저장되는 메모리이다. ( C언어의 포인터 접근이 이 메모리의.. 2022. 11. 27.
RTD(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온도센서 RTD == 측온저항체 == 저항온도계 == 백금저항 등 모두 RTD 온도센서를 부르는 말이다. RTD 온도센서의 방식 RTD(측온저항체)는 열에 따라, 저항이 바뀌는 성질을 이용한 온도센서이다. 온도의 변화의 따라 저항이 변화하여, 이 성질을 이용하여 저항값을 읽어 계산하여 온도를 표현하게 된다. 0 °C 에서 100 Ω 이냐 1000Ω이냐에 따라 PT100, PT1000 이라는 센서로 나뉘게 된다. 보통 PT100 (0 °C 에서 100 Ω) 센서를 많이 사용한다. RTD 온도센서의 저항 값 읽기 온도에 따라 일정하게 저항이 변화하는 성질이 있을뿐, RTD 온도센서도 결국 회로에서의 저항에 불과하다. 아두이노 마이크로컨트롤러를 비롯한, 대부분의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저항을 읽어야 위의 온도그래프에 의한 .. 2022. 11. 27.
LAN, MAN, WAN 네트워크는 규모와 관리 범위에 따라 LAN, MAN, WAN 3가지로 구분된다. 1. LAN (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통신망 - 사용자 내부 네트워크 - 공유기를 통한 네트워크 구축이 LAN 이다. (사설 네트워크) - 최근에는 복잡하거나 대규모인 네트워크도 직접 구축한 네트워크 범위라면 LAN이라고 부른다. 2. MAN (Metro Area Network) : 도시 통신망 -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 최근에는 도시단위의 네트워크는 잘 구분하지 않는다. (일반인 이라면 현실적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 굳이 구분하자면 휴대폰 이동통신망에서 사용하는 기지국 정도이다. 3. WAN (Wide Area Network) : 장거리 통신망 - 인터넷 사업자(KT, LG,.. 2022. 11. 26.
[L1] 모뎀 (Modem) 모뎀은 OSI 1계층의 장비이지만, 실제로 보면 인터넷 사업자 (KT, LG, SK)에서 구축해주는 모뎀은 OSI 2계층의 스위치 허브 기능도 포함 되어있다. 가장 핵심적인 역할은 PCM 변조 모뎀의 종류는 많지만, 가장 큰 역할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 또는 동축케이블의 전기적인 신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Digital Analog Converter: DAC) 하고 반대로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Analog Digital Converte: ADC) 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 역할을 PCM(Pulse Code Modulation) 변조 라고 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모뎀은 외부 네트워크 케이블(광,동축)의 전기적인 신호를 PCM변조 과정을 통해 외부 인터넷과 통신하기 위한 장비이다... 2022. 11. 26.
릴레이/계전기(Relay) 릴레이는 설비에서 많이 쓰이는 부품이다. 설비와 설비간의 연동 시에도 유용하게 쓰인다. 설비에서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용도인데, 자세히 보면 릴레이도 일종의 스위치이다. 릴레이는 " 주는 전기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스위치 " 라고 생각하면 기억에 오래 남는다. 즉, 보통의 스위치는 수동으로 조작 하지만 릴레이의 스위치는 전기 신호로 조작한다. 릴레이의 종류야 다양하겠지만 항상 스위치 조작이라는 목적이 동일하다는 점을 기억해야한다. 수동조작 수동복귀 집안에서 볼 수 있는 형광등 제어 스위치 수동조작 자동복귀 푸쉬버튼 자동조작 수동복귀 누전차단기 자동조작 자동복귀 릴레이 IoT에 있어서 설비를 제어하기 위해서 연동하기 위해 릴레이 방식이나 RS485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다른 방법도 있을수도 있겠지.. 2022. 11. 24.
[L1] 케이블 (전송매체) 이더넷 네트워크 표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술은 이더넷 방식이다.... 방식이라고 하기도 좀 그럴게 모든 인터넷은 이더넷으로 연결된다. 물리적인 연결에서 이더넷 표준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본적은 없다. 케이블의 종류 1.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Twisted pair : TP) 한국말로는 꼬임쌍썬이라고 불린다. 그렇다.. 우리가 알고 있는 LAN선이다. TP 케이블에도 종류가 있는데 UTP (언쉴드 : 보호되어있지 않은) , STP (쉴드: 보호가 되어있는), FTP(호일: 호일로 보호되어있는) 케이블로 나뉜다. 당연하게도 보호가 잘 되어 있을 수록 외부간섭에 강하고 가격도 비싸다. 사무실이나 집에서는 UTP를 사용하지만 외부 간섭이 심한 산업현장에서는 STP를 사용하는 곳도 있다고 한다.. 2022.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