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124

EasyEDA 회로도 기본 도식 기호 정리 1. Vcc,GND 2. 저항(R) 3. 커패시터(C) 4. 인덕터(L) 5. 전원공급(Power Supply) 6. 커넥터 7. 스위치 8. 다이오드(정류기) 8. 트랜지스터 9. 전압레귤레이터(리니어 레귤레이터 : LDO) 2023. 1. 16.
PCB 관련 기초 지식 정리 PCB 부품의 분류 Through Hole (DIP) 방식 부품 핀 방식으로 PCB 구멍에 꽃아 납땜하는 방식의 부품 / 대부분 크기가 좀 크고 내구성이 강함 SMT (SMD) 방식 부품 SMT 에 사용되는 부품을 SMD 부품이라고 하며, PCB 표면에 실장하여 납땜하는 방식 / 대부분 소형이고 내구성 약함 SMD ( L/R/C ) 소자부품은 규격이 정해져 있다. 부품 규격이 작아질수록 가격이 더 커짐. 규격에서 단위는 밀리와 인치가 있는데 이것을 명확하게 확인해야함. L/R/C(수동소자)는 버틸 수 있는 전력을 확인해야한다. SMD (IC)의 사이즈 규격은 아트웍 작업시에 핀 갯수와 피치(핀 간격)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PCB 관련 명칭 SMD PAD SMT 납땜 할 수 있는 PCB의 동판을 가르.. 2023. 1. 15.
센서의 개요 센서(Sensor)의 정의 어떤 대상의 정보를 수집하여, 기계가 취급할 수 있는 신호로 치환하는 소자 및 장치. 센서는 환경에 대한 변화나 특정 이벤트를 감지하여 그것을 관측하는 사람이 읽거나 판단할 수 있도록 변환된 출력 결과를 보여준다. 사람의 감각기관 처럼 어떠한 기계 장치도 센서로부터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을 처리한다. 센서는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등과 같은 통신 기술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센서(Sensor)의 분류 일반적으로 모든 유형의 센서는 수동센서(passive sensor), 능동센서(active sensor)로 분류 할 수 있다. 센서의 분류 특징 예 수동센서 (Passive Sensor) 별도의 에너지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대상자체로 부터 발생하는 에너지를 출력신호로.. 2023. 1. 4.
PCB(Printed Circuit Board) 제작 과정의 이해 (1) 회로도 설계 PCB 설계시에 가장 처음으로 하는 것은 회로도를 설계하는 것 이다. 동시에 회로에 사용 될 IC칩, 부품, 소자,모듈 들의 수요가 있는지 꼼꼼하게 파악해야 한다. PCB를 설계하는 프로그램을 EDA라고 하며, EDA로 회로도를 작업한다. EDA에도 종류가 굉장히 많은데, 유료상용으로는 OrCAD를 많이 사용하고 무료용으로 EasyEDA, KiCAD가 유명하다. (2) 아트웍 작업 회로도를 다 설계하면 PCB의 모양부터 부품들의 실제 위치, 라인 선을 디자인 하는 아트웍 작업을 한다. 아트웍 작업도 EDA로 진행하며, 디자인 후에 최종적으로 Gerber파일을 생성한다. 몇개의 층으로 디자인 하는지에 대해서도 이 아트웍 작업에서 결정한다. 부품과 라인이 많을 수록 레이어는 늘어날 것이다.. 2022. 12. 29.
[프로토콜] Modbus(모드버스) 1. Modbus(모드버스)란 무엇인가? 모드버스는 프로토콜이다. 즉, 어떤 통신을 위한 규약이라는 것이다. 모드버스는 산업 설비기기와의 통신을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이다. 만약, 어떠한 산업용 장비와 연동을 하려고 한다면 모드버스 프로토콜을 이용하는것이 매우 쉬운 방법이 될 것이다. 모드버스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RS485, RS232, TCP/IP 인터페이스가 있어야 한다. 즉, 설비 인터페이스와 설비와 연동하려는 디바이스가 기본적으로 위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중 하나라도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설비인터페이스는 RS485 인데 연동하려는 IoT 디바이스가 TCP/IP라면 중간에 프로토콜 변환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가 필요하다. 2. Modbus(모드버스)의 종류 (1) Modbu.. 2022. 12. 27.
[RF통신]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1. RF란 ? 라디오는 무선 통신을 의미하며, RF는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의미한다. 기술적으로 RF(무선 주파수)는 주어진 주파수의 신호를 안테나로 흘려보냈을 때 무선 방송이나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장이 생성되는 특성을 갖는 교류를 가르킨다. 이러한 주파수에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 kHz 대역부터 수천 GHz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이 포함된다. 오늘은 RF을 이용한 무선통신 기술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2. RFID란? RF의 대표적인 응용 중 하나로, 데이터가 기록된 IC칩과 RF를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인식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을 말한다. RFID는 전자태그, 스마트 태그, 전자 라벨 등으.. 2022.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