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124

[프로토콜]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MQTT란?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하는 IoT의, IoT에 의한, IoT를 위한 메세지 프로토콜이다. MQTT 프로토콜은 정말 단순하게 사물인터넷 간에 "메세지"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MQTT로 통신되는 메세지를 통해서 디바이스를 제어를 하든, 데이터를 만들고 수집하든 처리는 알아서 하는거다...ㅎㅎ (IoT 개발자의 몫) MQTT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 다른 통신프로토콜에 비해서 리소스가 비교적 적어, 소형 디바이스 통신에도 최적화 되어있다. Broker(브로커) 통신을 하기위해서는 보통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존재한다. MQTT에서도 메세지를 잘 전달해 줄 수 있는 서버와 같이 중계를 해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MQTT에서는 이를 Broker(브로커) 라고 한다. MQT.. 2022. 12. 5.
[L2] MAC 주소 MAC 주소는 Media Access Control의 줄임말로 2계층에서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주소이다. MAC 주소는 이더넷과 무선랜을 포함한 대부분의 IEEE 802 네트워크 기술에서 2계층 주소로 사용된다.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모든 장비는 MAC주소라는 물리적인 주소가 있어야한다. MAC 주소의 구조 MAC 주소는 변경 할 수 없도록 하드웨어에 고정되어 출하되는게 일반적이다. MAC 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이더넷, 와이파이 )에 할당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LAN카드, 노트북, 메인보드의 LAN 포트, 무선랜 모듈 등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에서 장비가 출하될 때 마다 MAC 주소를 할당하게 되는데 매번 이 주.. 2022. 12. 1.
[통신기초] 시리얼 통신 (Serial Communication) 시리얼 통신이란? 시리얼 통신은 직렬 연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직렬 연결은 한번 에 하나의 비트단위로 1(High)과 0(Low)의 신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시리얼 통신도 동기식과 비동기식의 2가지 방법으로 분류가 된다. 시리얼 통신 분류 동기식 통신 데이터 신호와는 별도로 동기신호를 함께 보낸다. (쉽게 언제 데이터를 주고받을 지 정해져 있다는 것) 비동기식 통신 데이터 신호만을 보내고 각각의 방식에 따라 데이터 비트를 찾아낸다. (데이터를 언제주고 받을 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방식을 맞춰야 한다.) 비동기식 통신의 경우 언제 데이터를 주고 받을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꼭 맞춰야 하는 몇가지 규약이 있다. 시리얼통신 동기 규약 통신속도 ( Baud rate.. 2022. 12. 1.
GPIO(범용 입/출력 핀)의 기본적인 기능 GPIO 란? GPIO(General-Purpose Input/Output)은 범용 입출력 핀을 말하며, 범용이라는 것은 여러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즉, 어떤 핀의 용도가 입력이냐 출력이냐 하는 것이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또한 어떤 핀이 입력으로 설정 될 경우, 그 입력 핀을 칩 내부에 있는 저항(풀업저항)을 통해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전원 전압에 연결되게 할지의 여부도 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된다. 디지털 출력 GPIO핀은 디지털 출력으로 많이 사용된다. 즉 외부 장치나 부품을 ON/OFF 하는데에 사용된다. GPIO핀에는 LED와 같은 부품을 직접 연결하여 이를 ON/OFF 하거나 포토커플러 또는 릴레이(계전기)를 연결하여 이들을 온, 오프 하는 방식.. 2022. 11. 29.
데이터베이스(DataBase)/DBMS/SQL 개념 데이터베이스(DataBase) 정의 : 데이터의 집합/ 저장소 데이터베이스에는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된다. 단지 저장소의 역할일 뿐이고 실제 데이터를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 문서 작성에는 한글(HWP)이나 워드(Word), 표 계산을 위해서 엑셀(Excel), 사진 작업을 위한 포토샵(PhotoShop) 같은 소프트웨어가 있는 것 처럼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의 집합'이라고 정의한다면, 이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를 DBMS 라고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단지 저장소 일 뿐이고, 여러명의 사용자와 공유하고 동시에 접근할 수 있어야한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엑.. 2022. 11. 29.
[L3] IP주소(IPv4) / 서브넷 마스크 IP 주소 체계 OSI 7계층에서 주소를 갖는 계층은 2계층과 3계층이다. 2계층은 물리적인 MAC 주소를 사용하고, 3계층은 논리적인 IP주소를 사용한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IP주소는 32비트 크기의 정보량을 갖는 IPv4 주소이다. IP 는 IPv4, IPv6 두 가지 체계가 사용되고 IPv6는 128비트의 정보량을 갖는다. 지금은 IPv4 주소 체계를 기반으로 설명한다. 192.168.0.1 1100000. 10101000. 00000000. 0000001 IPv4의 표기는 8비트씩 끊어서 10진수로 4자리를 표현한다. (8비트 * 4 = 32비트) 이때 끊은 단위를 '옥텟' 이라고 하고, .으로 구분한다. 하나의 옥텟에는 10진수 0~255까지의 값을 표현한다.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 1.. 2022.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