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베디드 하드웨어57

이상적인 전압원 ( feat 입출력 임피던스 ) 나는 전자회로를 한참 배울때, 항상 전원장치에 대해서 고민하던 때가 있었는데 지금에야 정리가 된 것 같아서 글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여기 한 전원 어댑터가 있다. ※ 개인적인 생각일 뿐, 공학적인 접근은 아닐 수도 있다. 전원 어댑터의 용량은 5V 2A로 가정 해본다. 전자회로를 한참 배웠을 때 생각해보았다. 저 전원장치는 부하와 연결되면 2A라는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일 까? 이야기의 시작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실제 저항에서 부터이다. 1. 이 세상에 저항은 어디에서나 존재하는 성분이다. 고로 어디에서나 존재한다. 이 세상에는 저항이 00Ω, 그리고 무한대Ω이란 존재할 수 없다. 도체란 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 즉 저항이 매우 낮은 물질이라 볼수 있겠다. 최근에 이슈가 되었던 초전도체는 저항성분이 0Ω에.. 2023. 9. 1.
[반도체] MOSFET (금속 산화막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 BJT (흔히 말하는 트랜지스터)는 베이스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컬렉터와 이미터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어 하였다. 이에 반하여 FET(Field Effect Transistor,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에 의해 드레인과 소스 사이의 전류를 제어하는 능동소자이고, BJT와 마찬가지로 전류 증폭과 스위칭 용도로 사용된다. MOSFET는 구조에 따라 N채널과 P채널로 구분된다. 줄여서 NMOS,PMOS라고 한다. 1. BJT vs MOSFET FET중에서도 MOSFET은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불리며, 디지털 회로와 아날로그 회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FET라고 할 수있다. 특히, MOSFET은 게이트 전압으로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때문에, BJT 처럼 .. 2023. 8. 30.
[반도체] BJT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 3개를 접합하여 만든 능동소자이다. BJT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로 불리운다. 트랜지스터의 역할은 전류를 차단 도통 시키는 원리로 전자회로에서의 ON/OFF 스위칭 역할 부터 전류의 증폭 역할 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트랜지스터는 NPN형과 PNP형으로 나누어지며, 이들의 구분은 PN접합인 다이오드 방향을 보고 구분한다. 1. NPN형 N형-P형-N형 반도체 구조로 되어 있으며 컬렉터(C), 베이스(B), 이미터(E)로 구분되는 연결선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B)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으로 컬렉터(C)에서 이미터(E)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한다! 원리는 이게 사실 전부이다. 한 가지 더 중요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컬렉터(C)에서 이미터(E)로 도통되어 전류가.. 2023. 8. 29.
[반도체] 다이오드 능동소자는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 정도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특정조건으로 전자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물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만든 소자를 반도체소자 라고함 1. 다이오드의 PN접합 반도체 성질을 확실하게 알 필요는 없다고 생각되지만, 동작 원리의 기초가 되므로 짚고 넘어가자면... P형 (Positive) : 순수 반도체에 붕소등의 분술물을 투입하여 만든 반도체 N형 (Negative) : 자유전자의 수가 많아지도록 (전류의 흐름을 막을 수 있도록) 인, 비소 등의 분순물을 투입하여 만든 반도체 * P형과 N형의 접합(Junction)으로부터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MOSFET이 만들어진다. 2. 애노드(Anode), 캐소드(Cathode) = A,K로 표기 - P형 반도체의 전하(A:애노드).. 2023. 8. 29.
[L] 인덕턴스 / 인덕터 정리 1. 인덕턴스 본질 (AC 성분 차단, DC 성분 통과) 인덕턴스는 L로 표기한다. 전류 I 에 대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크기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인덕턴스 L의 양이 크다면 같은 전류에 대해 더 큰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결국에는 전류의 변화에 의해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정도의 물리량(유도용량)으로 정의 할 수 있다. 단위는 핸리[H]로 사용한다. [간단 수식정리] 1H [핸리] 는 초당 1A의 전류 변화에서의 1V의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양이다. * 인덕턴스의 본질은 전류가 변화하는 반대방향으로 자기자신에게 기전력을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전류의 변화를 막는 성질로 작용된다. 전류가 변화하는 AC의 성분을 막는다. 전압이 일정한 DC (전압이 일정하다는 것은 부하가 변화하지 않는 이상 전류가 변하지.. 2023. 8. 21.
[통신] USB(Universal Serial Bus : 범용 직렬 버스) 기초 USB 개요 - USB는 Universal Serial Bus의 줄임말 - USB는 모든 기기(디바이스) 간의 가장 호환성이 높은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 MCU(마이컴) 통신을 위한 통신에는 I2C/UART/SPI가 있었지만, USB는 MCU통신 보다는 디바이스간의 통신에 초첨이 맞춰져 있다. (보통은 PC와의 통신) - USB 2.0에서 PC와 주변기기를 시초로 USB 3.0이 되면서 전송속도가 매우 좋아져 대용량 저장장치에도 쓰인다. USB 특징 - 쉬운장착 : 일반적인 PC에는 USB 포트가 있음 - 편리한 케이블 : USB 커넥터는 RS232 등의 다른 인터페이스보다 작고 단순하다. (케이블 길이는 최대 5M, 리피터 사용시 최대 30M) - 무선옵션 : 원래 유선 인터페이스 였지만 현재는 US.. 2023. 8. 7.